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장 사고고립됐던 20대 13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장 사고고립됐던 20대 13시간 만에 구조강우로 지반 약화 추가붕괴 우려50대 실종자 위치 파악도 힘들어“사고 전 이상징후에도 대처 미흡”당시 균열됐다던 기둥, 이미 파손국토부 “원인 규명” 조사위 구성11일 발생한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장 붕괴로 실종된 근로자 구조가 궂은 날씨와 추가 붕괴 우려로 한때 중단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사고 당시 현장에 갇혔던 근로자 2명 중 1명은 구조됐지만, 나머지 1명은 위치 파악도 되지 않은 상황이다. 임광식 광명소방서 소방행정과장은 13일 붕괴 현장에서 브리핑을 열고 전날 기상상황 등으로 중단됐던 수색작업이 이날 오후 2시10분부터 재개됐다고 밝혔다. 임 과장은 “전날 내린 강우의 영향으로 토사 붕괴의 우려가 있어 구조 작업이 중단됐으나, 토목·지질 전문가가 참여한 상황 판단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색작업 재개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무너진 도로 13일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사 현장이 붕괴로 인해 내려앉아 있다. 앞서 지난 11일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가 일어나 작업자 18명 중 16명이 대피하고 1명이 13여시간 만에 구조됐다. 남은 실종자 1명을 찾기 위한 수색작업은 궂은 날씨와 추가 붕괴 위험으로 중단됐다 13일 오후에 재개됐다.광명=남정탁 기자 소방 당국은 전날 오후 3시1분쯤 실종자 A씨(50대)의 수색작업에 투입됐던 119구조대원을 모두 철수시켰다. A씨는 사고 직후 실종된 뒤 정확한 위치나 생존 여부가 파악되지 않았다. 대원들은 소음과 일부 구조물이 떨어지는 현상을 목격하면서 안전에 위험을 느낀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오후 8시쯤에는 크레인을 이용한 잔해물 정리 작업 역시 중단했다. 약 18시간 만에 구조 작업이 재개됐으나, 당국은 여전히 구조대원의 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고 현장에 추가 붕괴 위험이 있는 데다 공사 장비 등 낙하 위험물이 여전히 많은 상태라 대규모 인원을 투입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알려졌다. 임 과장은 “현장 자체가 위험요소로 가득 차서 (하부로 진입하는) 구조 작업이 어렵고, 주변 위험물을 제거하는 상황”이라며 “전날 강수로 인해 상부 쪽 균열이 심해진 것으로 확인됐고,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장 사고고립됐던 20대 13시간 만에 구조강우로 지반 약화 추가붕괴 우려50대 실종자 위치 파악도 힘들어“사고 전 이상징후에도 대처 미흡”당시 균열됐다던 기둥, 이미 파손국토부 “원인 규명” 조사위 구성11일 발생한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장 붕괴로 실종된 근로자 구조가 궂은 날씨와 추가 붕괴 우려로 한때 중단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사고 당시 현장에 갇혔던 근로자 2명 중 1명은 구조됐지만, 나머지 1명은 위치 파악도 되지 않은 상황이다. 임광식 광명소방서 소방행정과장은 13일 붕괴 현장에서 브리핑을 열고 전날 기상상황 등으로 중단됐던 수색작업이 이날 오후 2시10분부터 재개됐다고 밝혔다. 임 과장은 “전날 내린 강우의 영향으로 토사 붕괴의 우려가 있어 구조 작업이 중단됐으나, 토목·지질 전문가가 참여한 상황 판단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색작업 재개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무너진 도로 13일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사 현장이 붕괴로 인해 내려앉아 있다. 앞서 지난 11일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현장 붕괴 사고가 일어나 작업자 18명 중 16명이 대피하고 1명이 13여시간 만에 구조됐다. 남은 실종자 1명을 찾기 위한 수색작업은 궂은 날씨와 추가 붕괴 위험으로 중단됐다 13일 오후에 재개됐다.광명=남정탁 기자 소방 당국은 전날 오후 3시1분쯤 실종자 A씨(50대)의 수색작업에 투입됐던 119구조대원을 모두 철수시켰다. A씨는 사고 직후 실종된 뒤 정확한 위치나 생존 여부가 파악되지 않았다. 대원들은 소음과 일부 구조물이 떨어지는 현상을 목격하면서 안전에 위험을 느낀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오후 8시쯤에는 크레인을 이용한 잔해물 정리 작업 역시 중단했다. 약 18시간 만에 구조 작업이 재개됐으나, 당국은 여전히 구조대원의 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고 현장에 추가 붕괴 위험이 있는 데다 공사 장비 등 낙하 위험물이 여전히 많은 상태라 대규모 인원을 투입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알려졌다. 임 과장은 “현장 자체가 위험요소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장 사고고립됐던 20대 13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