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
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연구소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중국 쪽 서해 연안 황폐화로 어선들이 점점 우리 쪽 중간선으로 구조물을 설치하려고 할 가능성이 큽니다." 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법정책연구소장은 지난 3일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반대 입장을 적시에 지속적으로 분명히 표명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KIOST는 한국 최초 종합해양조사선인 '온누리호'(1,422톤급)를 운영하고 있다. 온누리호는 지난 2월 26일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 설치된 구조물을 조사하기 위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중국 해경 및 민간인과 대치한 선박이다. 당시 온누리호가 구조물에 약 1㎞ 거리까지 접근하자, 고무보트에 탄 중국 쪽 시설 관리인들이 막아섰다. 이에 대기하던 한국 해경도 함정을 급파해 현장에서 중국 측과 2시간여 대치했다. 양 소장은 중국이 '어업양식 시설'이라 주장하며 설치한 구조물은 "우리의 해양경제활동과 관련한 주권적 권리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라면서 "중국은 잠정조치수역에서의 자제 의무를 위반한 것이고, 추가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외교적 항의와 철거라는 메시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이 구조물이) 해양 경계획정 협의에 영향을 주는 건 아니지만,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묵인효과가 생긴다"며 "외교적 항의와 조사선을 통한 억지력을 발휘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한중 사이 거리가 가까운 서해에서는 해양 경계 협정이 맺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한국과 중국의 200해리(약 370km)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잠정조치 수역에서 양국 어선이 함께 조업하고 양국 정부가 수산자원을 공동 관리한다. 유엔해양법협약이 규정한 잠정약정, 즉 최종경계선을 확정하기 전에 수산자원을 함께 이용·관리하도록 양국이 합의했다. 그게 바로 PMZ다. 그럼에도 이곳에 설치한 구조물이 관심을 끄는 건, 우리 중간선 인근에 자리 잡고 있어 중국이 서해를 내해(內海)화한다는 우려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양 소장은 중국의 정곡을 찌를 대응 수위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도, 서해 구조물 논란을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같은 성격의 문제로 보는 것은 경계했다. 양 소장은 "남중국해는 영유권 분쟁과 더불어 중국과 동남아국가연합 타마루 미츠히로 셰프.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손으로 샤리를 쥐고 네타를 얹어 접시에 올리기까지 약 30초. 젓가락으로 들어 입에 넣기까지 다시 15초. 채 1분도 걸리지 않는 시간 동안 초밥 한 점에 대한 평가는 끝난다. 찰나의 짧은 순간 내에 그 ‘인상’이 결정되는 만큼 어쩌면 초밥 장인에게는 잔인하다고 느껴질 수도 모를 일이다.하나의 초밥이 통과해도 안심할 수 없다. 다음 초밥도 같은 평가를 거쳐야 한다. 매번 올리는 재료가 달라지는 만큼 긴장은 놓을 수 없다. 100개가 완벽해도 단 하나가 어긋나면 장인이 추구하는 ‘완벽’은 이미 멀어진다. 밥, 재료, 와사비, 간단하다면 간단한 그 구조 속에 깃든 철학과 노력을 들여다보면 결코 단순하지 않다.따라서 한 점, 한 점 세심히 쥐어야만 한다. 장인들이 초밥을 쥐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있자면, 그 손끝에서조차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고요한 적막 속에서 손의 움직임은 마치 한 편의 무용을 보는 듯하다. 밥 사이 공기를 넣기 위해 손의 압력을 조절하는 모습은 풍금의 건반을 누를 때처럼 섬세하다.일본 미슐랭 2스타에 빛나는 ‘스시 카네사카’ 역시 비슷한 철학을 갖고 있다. ‘일악입혼(一握入魂)’, 스시 한 점에 혼을 불어넣는다는 이 정신은 이곳을 일본을 대표하는 스시 명가로 만들었다. 스시 카네사카는 지난해 11월,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 입점해 ‘에도마에 스시’를 선보이고 있다. 에도마에 스시는 지난 에도시대(1603~1867년) 무렵 탄생한 기법으로, 손으로 쥐어 만든 스시를 대개 이렇게 부른다.일본 본토의 맛을 그대로 전달하려는 배려는 업장 곳곳에서 느껴진다. 전 세계 카네사카 매장의 인테리어를 맡아온 일본 업체 ‘이타이(Itai)’가 시공을 맡았으며, 스시 카운터 역시 일본에서 들여온 편백 목재 등으로 제작됐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본 본점의 철학을 온전히 전하려는 노력이다.스시 카네사카의 철학은 크게 3가지다. 첫째, 본질에 충실한 초밥을 만들 것. 이를 위해서
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